-
수험생활이란 구름을 걷히고, 기상청으로2023-03-14 l 조회수 169『수험생활이란 구름을 걷히고, 기상청으로』 문찬혁 사무관 | 기상청 안녕하세요. 2022년도 국가공무원 5급 공채 기상직에 합격한 문찬혁입니다. 행정실의 기고 요청을 처음에는 흔쾌히 수락했지만 그동안 동문칼럼에는 각자의 분야에서 활약하고 계신 선배님들이 글을 써주셨던 것을 보고, 저는 단지 기상청 입사 시험에 합격했을 뿐이어서 자격이 되지 않는다 생각하여 큰 부담이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저처럼 사무관으로 기상청에서 일을 시작해보고 싶은 선후배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1. 기상청에 들어오면 어떤 일을 하게 되는가! &n...미국 Woods Hole 해양 연구소의 Senior Scientist, 권영오 박사님을 만나다2022-10-11 l 조회수 1580『미국 Woods Hole 해양 연구소의 Senior Scientist, 권영오 박사님을 만나다』 권영오 박사 | WATS 인터뷰 Q1. 간단한 자기소개와 박사님께서 하고 계신 연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지금 보시는 게 제가 지금까지 쓴 60개 이상의 논문 제목을 모은 그림입니다. 보시다시피 변동성에 관해서 주로 연구하고 있고, 해양과 대기 순환, 대서양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더 세부적으로 어떤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지 소개해 드리면, 한 마디로 ‘해양-대기 상호작용이 기후 변동성과 변화에 미...중년의 지질학도, 적성을 찾다.2022-04-04 l 조회수 1592『중년의 지질학도, 적성을 찾다.』 이승배 책임연구원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배운 사람이 할 수 있고 해야 할 많은 일들 중에, 배운 것을 일반인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파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일, 즉 지구과학의 대중화는 우리의 학문 분야와 결국 그 학문을 하는 사람들의 가치를 높이는 보람찬 일 중 하나입니다. 저는 학부 야외 수업 중에 직접 발견한 화석에 매료되어 지구시스템과학(지질학)을 선택했습니다. 좀 더 인기 있는, 소위 밥벌이가 잘 될 만한 공부를 하는 게 어떻겠냐는 주변의 걱정도 있었지만, 저의 고민은 &l...극지연구소에서의 소중한 경험 – 장점에 집중하기2021-09-14 l 조회수 1668안녕하세요. 올해 3월부터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해양학전공)에서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는 윤승태라고 합니다. 제가 학부생일 때부터 열심히 봤었던 SEES letter인데 이렇게 직접 선후배님들께 글을 쓰자니 여러모로 감회가 새롭네요. 우선, 코로나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많은 상황에 모두 고생이 많습니다. 모두 건강 잘 챙기면서 하시는 일에 매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동문 칼럼 작성 의뢰를 받고 지환부 선후배님들께 어떤 얘기를 들려 드릴까 고심을 하다, 저의 그리 많지 않은 경험들 중 극지연구소에서의 박사 후 연구원 시절에 관해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20...안녕하세요, 박승부입니다2021-04-13 l 조회수 2750안녕하세요, 작년 가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환경공학부에서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는 박승부라고 합니다. 요즘 선후배님들은 잘 지내시는지 궁금하네요. 연구와 진로 등에 대한 고민으로 힘드신 선후배님들도 계실 텐데 답답한 상황이 좀처럼 풀리지 않아 걱정이 됩니다. 저 역시 작년 여름까지 그런 고민으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이제는 학생을 지도하는 입장에서 또 다른 고민을 안고 지내지만, 돌이켜보면 한없이 무겁던 고민들이 어쩌면 성장을 위한 밑거름이지 않았을까 생각하며 살고 있습니다. 세어보니 저는 졸업 후 배봉산 자락으로 오기 전까지 네 곳에서 연구 경험을 쌓았네요...Let it Snow!2020-11-03 l 조회수 704중위도 지역에서 겨울철에 내리는 눈은 수리지질학적으로,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눈은 물의 순환에서 에너지에 제일 민감한 부분이라 기후변화로 인해 많은 지역에서 새로운 관심을 받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전공에서 지질학을 가르치고 있는 이정훈입니다. 최근에 비가 많이 내려 치수의 중요성이 또한 강조되고 있는 시점입니다. 비가 많이 오고 있지만, 습한 여름인데 시원하시라고 겨울철 눈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중위도의 많은 지역에서 겨울철에 쌓인 눈(seasonal snow)이 봄에 녹기 시작하면 홍수가 발생...안녕하세요. 김혜원입니다.2021-03-31 l 조회수 2442저는 현재 미국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WHOI)과 MIT-WHOI Joint Program in Oceanography/Applied Ocean Science & Engineering 의 faculty로 재직 중입니다. 저는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2007학번으로서, 2010년에 학부 졸업 후 대학원 진학을 위해 바로 미국으로 와, 어느덧 10년째 미국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있는 곳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 해드리면, WHOI는 6개의 연구분과, 40여개의 센터/랩과 총 95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는 미국에서 가...의외의 기회를 도약의 계기로2021-03-31 l 조회수 1225저는 2018년 2월 박사학위 취득 후 작년 7월부터 독일 막스 플랑크 기상연구소 (Max-Planck Institut für Meteorologie)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중인 서재명이라고 합니다. 독일에 오기 전 2주 이상 외국에 나가본 경험도 없던 제가 낯선 비 영어권 국가에 거주한지 벌써 반년 이상이 지났다는 점이 새삼스럽습니다. 오늘 저는 동문칼럼의 지면을 빌려 학위 취득 후 독일에 오게 된 계기와 독일에서의 연구활동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대류·도시기상연구실에서 주로 산과 대류 구름이 만들어내는 흐름과 산악 지형에 내리...안녕하세요. 정정교 입니다.2021-03-31 l 조회수 1283저는 현재 NASA 제트 추진 연구소 (Jet Propulsion Laboratory)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2017년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본 연구소에서는 2018년 7월경 시작하여 벌써 일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네요. 본 글에서는 간략하게 제가 하고 있는 연구와 일하고 있는 연구소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소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미국 연방 정부의 기금으로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에서 운영하고 있는 연구시설이며, 태양계 및 외계행성 탐사, “지구과학”, 우주 로봇 개발에...몇 가지 잔소리2021-03-31 l 조회수 1075저는 1990년대의 마지막 학번으로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1학년 때는 화염병이 날아다니는 교문을 지나다니기도 했습니다. 그러고 보면 꽤 오랜 시간이 지났습니다. 공부를 하기로 마음을 정한 것은 언제인가 가끔 되짚어 봅니다. 지금 공부하고 있는 바다의 미생물에서 유용한 물질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일이 재미있지만, 이 일을 업으로 해서 살아가야겠다는 결정을 어느 시점에 정한 것인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대학은 성적 맞춰, 석사는 군대 가기 싫어, 박사는 취직이 두려워 진학한 것이 아닌가 하는 자기 반성의 마음이 조금이나마 없다고 하면 거짓말일 것입니다. 학위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