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몇 가지 잔소리2021-03-31 l 조회수 1287저는 1990년대의 마지막 학번으로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1학년 때는 화염병이 날아다니는 교문을 지나다니기도 했습니다. 그러고 보면 꽤 오랜 시간이 지났습니다. 공부를 하기로 마음을 정한 것은 언제인가 가끔 되짚어 봅니다. 지금 공부하고 있는 바다의 미생물에서 유용한 물질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일이 재미있지만, 이 일을 업으로 해서 살아가야겠다는 결정을 어느 시점에 정한 것인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대학은 성적 맞춰, 석사는 군대 가기 싫어, 박사는 취직이 두려워 진학한 것이 아닌가 하는 자기 반성의 마음이 조금이나마 없다고 하면 거짓말일 것입니다. 학위 과정을,...관악에서 관악으로 돌아온 길2021-03-31 l 조회수 2367안녕하십니까, 정수종 입니다. 저는 2018년 3월부터 서울대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2010년 2월에 박사학위를 받고 8년이 지나 관악으로 돌아 왔지만 이제는 지구환경과학부가 아닌 환경대학원 소속입니다. 그래도 아직은 환경대학원 보다는 지구환경과학부라는 이름이 더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원고 요청을 받고 후배들에게 어떤 얘기를 해주면 좋을까 고민을 하다가, 최근 들어 가장 많이 받은 질문 중 하나인 “어떻게 서울대 교수로 오실 수 있었나요”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해볼까 합니다. 사실 뻔한 대답일 수 있겠지만, &ldq...지구환경과학부 후배님들께2021-03-31 l 조회수 970후배님들, 안녕하세요? 졸업생 서인아 입니다. 저는 2005년 지구환경과학부에 입학하여 2016년 2월에 이용일 교수님 연구실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지금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광물자원연구센터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해저퇴적물의 성분을 이용해 과거 해양환경이나 기후를 복원하는 고해양학/고기후학이 주된 연구 주제입니다. 후배님들께 도움이 될 이야기를 궁리해 보았지만, 아직 제가 그 정도의 인생 경험과 글솜씨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냥 제가 학생 시절에 고민했던 문제와 그 과정에서 제 나름의 답을 찾으려 했던 방법들을 말씀 드리는 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지...안녕하세요, 지구환경과학부 후배님들2021-03-31 l 조회수 1534안녕하세요. 지구환경과학부 후배님들. 먼저 제 소개부터 하겠습니다. 저는 소병달이라고 합니다. 2002년에 그 당시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에 입학했고 2006년부터 이상묵교수님의 해양지구물리 및지구동역학연구실에서 수학을 시작하여 2013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잠시 박사 후 연구원으로 동 연구실에 있다가 2014년에 학교를 떠났습니다. 그리고 2014년 말까지 호주 멜번의 Monash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2015년에 대통령 Post-Doc. Fellowship이라는 과제를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수주하여 충남대학교 시간강사 및 연구원으로, 2016년에 강원대학...지구환경과학부 후배님들께2021-03-31 l 조회수 1777안녕하세요, 먼저 제 소개부터 할게요. 제 이름은 김대현 이고요, 1999년에 지구환경과학부에 입학해서 2010년에 대기과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졸업을 했습니다. 졸업 후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에서 박사 후 연구원 및 연구교수로 있다가 2014년부터는 미국 워싱턴 주 주립대학 대기과학과에서 조교수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아, 먼 옛날 지구환경과학계열 제 1대 부학생회장이기도 했었습니다. 비록 지면을 통해서지만 저와 비슷한 길을 선택한 후배님들과 만나게 되어 무척이나 반갑습니다. 어떤 이야기가 보다 많은 후배님들께 도움이 될까 생각하다가...지구환경과학부 후배님들께2021-03-31 l 조회수 673안녕하세요, 저는 졸업생 김성룡입니다. 저는 2000년에 지구환경과학부 학부를 입학하여, 2014년 이준기 교수님 지도 하에 지진학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마쳤습니다. 현재는 호주국립대학교(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에서 포닥 연구원으로 있습니다. 저의 주요 관심 분야는 지구 내부 구조를 지진학적 방법을 통해 영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구조적 발달과정을 추론하는 것입니다. 마치 우리가 병원에서 MRI를 검사를 통해 우리의 몸 속을 볼 수 있는 것처럼, 지구라는 매질을 전파하는 지진파를 통해 지구 내부의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KOEM, 해양환경관리 전문기관으로 비상하다2021-03-31 l 조회수 527이 칼럼을 통해서 해양환경관리 전문기관으로 거듭나고 있는 해양 관련 공공기관인 해양환경관리공단(KOEM)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KOEM이라는 기관명이 아직 생소할 것입니다. 저 또한 공단에 입사하기 전까지는 몰랐으니까요..^^ 해양환경관리공단의 전신은 1997년에 설립된 “한국해양오염방제조합”입니다. 공단 설립법이 제정되면서 2008년에 공단이 출범하였고, 해양환경 보전, 관리 개선, 해양오염방제, 해양환경 관련 교육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해양 환경․생태 조사 사업들이 진행되면서 2010년 말에 저를 포함한 해양․...대기-해양 접합 시스템을 연구하는 전남대학교 해양기후연구실에서 전하는 인사2021-03-31 l 조회수 1726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조교수로 전남대학교 해양학과에 재직 중인 함유근이라고 해요. 저는 기후 역학 실험실에서 강인식 교수님 지도 하에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GSFC) 에서 3 년 반 정도 일한 후에 전남대학교로 오게 되었어요. 전남대학교는 많이들 아시다시피 맛있는 음식이 많기로 잘 알려진 전라남도 광주에 있고, 호남 지역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다수 재학중인 학교입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한 전남대학교 학교 출신 학생들도 몇몇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학생들을 보면 전남대학교가 어떤 학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