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성 교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해양 패러다임의 전환, 키워드는 바로 블루카본!2018-10-01 l 조회수 4552018년 가을호 해양환경공단 소식지 [해(海)맑은이야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해양 패러다임의 전환, 키워드는 바로 블루카본! '국내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 기술 개발' 사업 관련 초청세미나 및 공정보고회의 개최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황점식 교수] 지구환경과학부 부학부장 임명2018-09-27 l 조회수 597우리 학부의 황점식 교수님께서 아래와 같이 지구환경과학부 부학부장으로 임명되셨습니다. 앞으로 많은 수고 부탁드립니다. * 이름 : 황점식 (부교수)* 기간 : 2018. 10. 01. ~ 2020. 09. 30. (2년간) 더불어 그동안 지구환경과학부의 발전을 위하여 수고해주신 최경식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김종성 교수]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2018-09-15 l 조회수 5092018. 09. 15. 어린이과학동아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 갯벌은 열대우림보다 훌륭한 탄소저장도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정해진 교수] 정해진 교수와 국제공동연구팀, 공생조류의 새로운 분류 체계 마련2018-08-16 l 조회수 714아래의 기사 내용은 우리 학부의 정해진 교수팀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의 연구성과에 관한 기사 내용입니다. =======================================================서울대는 정해진 지구환경과학부 교수가 참여한 한·미·일·사우디아라비아 국제공동연구팀이 산호, 말미잘, 해파리, 연체동물 등과 공생을 하는 와편모류의 새로운 생물 분류체계를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산호 등과 공생하는 공생조류는 편모를 2개 가지고 있는 와편모류다. 산호 몸속 1㎤에 100만개 이상이 들어가 있다. 그동안 공생조류들은 모두...[박창의 박사] 세계기상기구서 연구상 수상…온난화 연구로2018-08-03 l 조회수 755우리학부를 졸업한 후 중국 남방과기대 연구교수로 있는 박창의 박사가 한국인 최초로 UN 기상학 전문기구인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가 주는 2018년 젊은 과학자를 위한 연구상을 받았습니다. 아래는 기사내용입니다. 박창의 박사의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박창의 중국 남방과기대 연구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UN 기상학 전문기구인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허창회 교수] 한국일보 인터뷰 내용 - “한반도 기온 계단식 상승… 올해 대폭염이 새 기점”2018-08-03 l 조회수 727다음은 우리학부의 허창회 교수님께서 한국일보와 인터뷰한 기사의 내용입니다. =========================================================“한반도 기온 계단식 상승… 올해 대폭염이 새 기점” 94년 폭염 이후 올해 ‘기온 점프’ 겨울은 1949년, 1987년 두차례 이전 상태로 되돌아간 경우 없어 온난화가 기온 상승 근본 원인 기초연구, 재난 대응체계 필요 지난 1일 전국 주요지역의 낮 기온이 관측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최악의 폭염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반도의 여름 기후가 올해 폭염을 기점으로 새로운 단계에 진...[허영숙 교수] 자연과학대학 학생부학장 임명2018-07-02 l 조회수 506우리학부의 허영숙 교수님께서 자연과학대학 학생부학장으로 임명되셨습니다. 임기는 2018. 6. 21. ~ 2020.6. 20.까지입니다. 허영숙 교수님의 학생부학장 임명을 축하드립니다. [허영숙 학생부학장 한마디] 지구환경과학부에서 화학적 방법으로 지구의 비밀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는 강물에서 현재의 지구를, 수백만 년에 걸쳐 쌓인 심해저 퇴적물에서 과거의 지구를 연구합니다. 비전공자들에게는 어떻게 태양의 행성 지구가 우리가 살기에 알맞은 환경이 되었는가를 강의합니다. 복잡한 화학적 구성을 갖는 자연물질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원소와 ...[김종성 교수] BRIC 한빛사 상위피인용논문 선정2018-06-05 l 조회수 609우리 연구실의 책임자이신 김종성 교수님께서 작성하시고, Environ. Sci. Technol (IF=6.198, October 27, 1999, 33 (23), pp 4199-4205 | DOI: 10.1021/es9904484) 저널에 출판되었던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from Masan Bay, Korea. 1. Instrumental Analysis” 논문이 상위피인용논문으로서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소개되었습...[이성근 교수] 서울대 연구팀, 100만 기압 이상 환경 비정질 결합구조 규명2018-06-04 l 조회수 1538아래 기사는 우리 학부의 이성근 교수님 팀에서 발표한 연구성과에 대한 기사 내용입니다. =============================================================서울대 연구팀이 극한 고압환경에 있는 비정질(원자 배열이 불규칙한 물질)의 결합 구조를 규명했다. 서울대는 지구환경과학부 이성근 교수 연구팀이 비정질 산화물인 보래이트로의 '비탄성 엑스레이 산란 시그널(신호)'을 100만 기압 이상의 극한환경에서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비탄성 엑스레이 산란 시그널은 광자와 전자의 상호관계 속에서 물질이 내보내는 미세한 ...[김종성 교수] BRIC 수산성과포커스 선정2018-06-01 l 조회수 4962016년 7월에 Marine Pollution Bulletin (IF=3.146, Volume 108, Issues 1-2, Pages 155-162 |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6.04.035) 에 출판된 “Arsenic speciation in water, suspended particles, and coastal organisms from the Taehwa River Estuary of South Korea” 논문이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소개되었습니다.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