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부소개
    • 학부장 인사말
    • 학부소개
    • 연혁
    • 교직원
    • 오시는 길
  • 교수/연구
    • 교수진
      • 교수
      • 명예 및 퇴직교수
      • 연구진
    • 교육·연구분야
      • 대전공분야
      • 연구부
    • 연구장비
    • 주요논문
  • 입학/학사
    • 대학
      • 입학
      • 교과과정
      • 졸업요건(교양)
      • 졸업요건(전공)
    • 대학원
      • 입학
      • 교과과정
      • 졸업요건
    • 장학
    • 졸업생 진로
      • 졸업 후 진로
      • 동문 인터뷰
  • 학부정보실
    • 뉴스
      • 공지사항
      • 학부 새소식
      • SEES 뉴스레터
    • 세미나/이벤트
    • 지환부 영상
    • 자료실
    • 미세먼지&기상정보
  • 인트라넷
    • 규정/지침
    • 시설예약
      • 예약신청
      • 예약현황
    • 장비예약
      • 예약신청
      • 예약현황
    • 로그인
    • 개인정보처리방침
EN

학부 새소식

  1. Home
  2. 학부정보실
  3. 뉴스
  4. 학부 새소식
  • 학부정보실
    • 학부소개
    • 교수/연구
    • 입학/학사
    • 학부정보실
    • 인트라넷
  • 뉴스
    • 뉴스
    • 세미나/이벤트
    • 지환부 영상
    • 자료실
    • 미세먼지&기상정보
  • 학부 새소식
    • 공지사항
    • 학부 새소식
    • SEES 뉴스레터
  • [김종성 교수]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평형수 위해성평가를 위한 신규 잔류독성 검정기술 제안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19-04-02 l 조회수 610
    서울대학교 김종성 교수(지구환경과학부)가 주도하고, ㈜네오엔비즈, 충남대, 경희대 등이 참여한 산학공동연구팀은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승인하는 선박평형수처리장치의 배출수 생태위해성 평가에 발광박테리아(해양미생물)를 이용한 검정법이 기존 검정법에 비해 보다 민감하고 효율적인 검정기술임을 새롭게 입증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표준화되어 있는 기존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생태독성검정과 비교해, 그 독성 평가능력에 있어 발광박테리아를 이용한 본 연구의 생태독성검정이 보다 민감함을 밝혔다. * 평형수 배출허...
  • [이강근 교수] 포항지진 원인 밝힌 이강근 “두 번의 결정적 경고음 지나쳐”
    2019-03-29 l 조회수 811
    아래는 우리 학부의 이강근 교수님께서 포항지진 원인에 관하여 한국일보와 인터뷰한 2019년 3월 29일의 기사 내용입니다.         ============================================================“시추용액 사라짐에 주목했다면… 미소지진 때 물 주입 중단했다면…  단층 위에 지열발전소 지은 건 부주의한 측면에 큰 불운이기도”    사상 초유의 대입 수능시험 연기 사태를 초래한 포항지진이 다시 한 번 국민들을 놀라게 했다. 1978년 국내 지진 관측이 시작 이래 두 번째로 강력했던 지진이 인위적 충격 때문에 발생했다는 공...
  • [박록진 교수] ‘최악’ 미세먼지 분석해 보니…“중국발 60% 이상”
    2019-03-19 l 조회수 646
    아래는 우리 학부의 박록진 교수님께서 연구하신 내용을 2019년 3월 18일에 kbs에서 방송한 내용입니다.     [URL 주소]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60335     ===========================================================[앵커] 이달 초 전국을 덮친 최악의 미세먼지, 중국의 영향이 크다는 정황이 많았는데요. KBS가 전문가에게 의뢰해 분석한 결과, 실제 중국발 미세먼지가 6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방실 기상전문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 [남성현교수님] "흑점과 고래" 예술 프로젝트 기고문 소식
    2019-03-13 l 조회수 637
    우리 학부의 남성현 교수님께서 작년에 삼청동 소재 [바라캇 서울]이라는 곳에서 셰자드 다우드라는 작가의 “흑점과 고래”라는 예술 프로젝트 차원에서 글을 기고하셨습니다.     Breaking Walls 라는 제목의 글로서 작년 가을 전시회에도 활용하고, 아래 프로젝트 사이트에 기고문이 실렸습니다. 과학과 예술의 융합 사례이므로 아래 링크로 연결하여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https://leviathan-cycle.com/essays/breaking-walls-crossing-boundaries/https://leviathan-cycle.com/salon/http:...
  • [정해진 교수팀] 온난화시 식물플랑크톤의 양적 변동 방향 예측 지표 개발 성공
    2019-01-30 l 조회수 1246
    아래 기사는 우리 학부의 정해진 교수팀에서 발표한 연구결과에 관한 "연합뉴스"의 기사 내용입니다.          ==========================================================녹조나 적조 현상을 일으키는 주범인 '식물 플랑크톤'이 수온보다는 부영양화 현상에 의해 좌우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영양화란 식물 플랑크톤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염류(질소·인)의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서울대는 지구환경과학부 정해진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 내용을 담은 논문을 해양생물 분야 국제 학술지 '해로운 ...
  • [심민섭 교수] 서울대 심민섭 교수 연구진 '25억년 이전 무산소 지구 미생물 생태' 규명
    2019-01-16 l 조회수 593
    아래 내용은 우리 학부의 심민섭 교수님께서 발표하신 연구내용에 관한 메트로신문의 기사입니다.      ==========================================================- "외계행성 물질서 생명 활동 추적에 이용 가능"       서울대는 지구환경과학부 심민섭 교수가 주관하고 동경공업대학 숀 맥글린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황산염을 이용한 무산소 호흡의 필수 효소가 남기는 화학적인 기록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광합성이나 화학합성 생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생물은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
  • [정해진 교수] 해양바이오 소재 "와편모류" 2종 발견 - 지역명 붙여 보고
    2019-01-08 l 조회수 666
    아래는 우리 학부의 정해진 교수팀이 참여하여 발견한 연구성과의 중앙일보 보도 자료입니다.      ===========================================================해양수산부가 국내에서 해양 와편모류 신종 2종을 새롭게 발견하고,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붙여 국제 학계에 보고했다고 8일 밝혔다. 와편모류는 해양 단세포 생물이다. 2개의 편모를 가지고 헤엄을 칠 때 소용돌이(와류·渦流)가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이 생물은 사람의 100배에 달하는 유전자 정보와 다양한 유용·기능성 물질을 가지고 있다. 해양바이오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
  • [김종성 교수] 기고문, 해양생태계 복원기술의 의미와 발전
    2019-01-04 l 조회수 550
    2018년 24호 KIMST [해양과학기술] 해양생태계 복원기술의 의미와 발전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
  • [손병주 교수] EBS 초대석 출연 - 지구의 생존, 1도를 지켜라
    2018-10-12 l 조회수 507
    우리 학부의 손병주 교수님께서 EBS 초대석에 출연하시어 "지구의 생존, 1도를 지켜라" 주제로 방송하신 내용입니다.    [지구온난화와 이상기온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전 세계. 기상이변 현상, 집중 호우, 폭염등 이상기후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구 온도 1도 상승은 상상보다 훨씬 큰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과연 이러한 현상을 막고 지킬 수 있을 것인가? ]       링크 : http://www.ebs.co.kr/tv/show?prodId=7745&lectId=10962096    
  • [김종성 교수] 바다를 연구하다, 우리 미래를 지키다
    2018-10-02 l 조회수 426
    2018년 가을호 한국환경공단 [자연가까이 사람가까이] 바다를 연구하다, 우리 미래를 지키다 해양 생태, 사회 이슈와 만나다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우리 미래를 살려야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
  •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다음
  • ← 이전
  • 37/63
  • 다음 →
로그인 ENGLISH
  • 학부소개
    • 학부장 인사말
    • 학부소개
    • 연혁
    • 교직원
    • 오시는 길
  • 교수/연구
    • 교수진
      • 교수
      • 명예 및 퇴직교수
      • 연구진
    • 교육·연구분야
      • 대전공분야
      • 연구부
    • 연구장비
    • 주요논문
  • 입학/학사
    • 대학
      • 입학
      • 교과과정
      • 졸업요건(교양)
      • 졸업요건(전공)
    • 대학원
      • 입학
      • 교과과정
      • 졸업요건
    • 장학
    • 졸업생 진로
      • 졸업 후 진로
      • 동문 인터뷰
  • 학부정보실
    • 뉴스
      • 공지사항
      • 학부 새소식
      • SEES 뉴스레터
    • 세미나/이벤트
    • 지환부 영상
    • 자료실
    • 미세먼지&기상정보
  • 인트라넷
    • 규정/지침
    • 시설예약
      • 예약신청
      • 예약현황
    • 장비예약
      • 예약신청
      • 예약현황
    • 로그인
    • 개인정보처리방침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S ©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NU.All Rights Reserved.

대학원 매뉴얼 및 정보자료

1. 지구환경과학부 대학원 매뉴얼
2. 해외석학 평가 요약 및 내용 2-1. 표 
2-2. 그림
3. 교수-학생 대토론회 상세 내용
4. 대학원 교과목 중 신규 수요와 사회적 수요 및
    반영 가능 교과목 List
5. 연구부 구성 및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