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현교수님] "흑점과 고래" 예술 프로젝트 기고문 소식2019-03-13 l 조회수 619우리 학부의 남성현 교수님께서 작년에 삼청동 소재 [바라캇 서울]이라는 곳에서 셰자드 다우드라는 작가의 “흑점과 고래”라는 예술 프로젝트 차원에서 글을 기고하셨습니다. Breaking Walls 라는 제목의 글로서 작년 가을 전시회에도 활용하고, 아래 프로젝트 사이트에 기고문이 실렸습니다. 과학과 예술의 융합 사례이므로 아래 링크로 연결하여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https://leviathan-cycle.com/essays/breaking-walls-crossing-boundaries/https://leviathan-cycle.com/salon/http:...[정해진 교수팀] 온난화시 식물플랑크톤의 양적 변동 방향 예측 지표 개발 성공2019-01-30 l 조회수 1186아래 기사는 우리 학부의 정해진 교수팀에서 발표한 연구결과에 관한 "연합뉴스"의 기사 내용입니다. ==========================================================녹조나 적조 현상을 일으키는 주범인 '식물 플랑크톤'이 수온보다는 부영양화 현상에 의해 좌우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영양화란 식물 플랑크톤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염류(질소·인)의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서울대는 지구환경과학부 정해진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 내용을 담은 논문을 해양생물 분야 국제 학술지 '해로운 ...[심민섭 교수] 서울대 심민섭 교수 연구진 '25억년 이전 무산소 지구 미생물 생태' 규명2019-01-16 l 조회수 570아래 내용은 우리 학부의 심민섭 교수님께서 발표하신 연구내용에 관한 메트로신문의 기사입니다. ==========================================================- "외계행성 물질서 생명 활동 추적에 이용 가능" 서울대는 지구환경과학부 심민섭 교수가 주관하고 동경공업대학 숀 맥글린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황산염을 이용한 무산소 호흡의 필수 효소가 남기는 화학적인 기록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광합성이나 화학합성 생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생물은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정해진 교수] 해양바이오 소재 "와편모류" 2종 발견 - 지역명 붙여 보고2019-01-08 l 조회수 651아래는 우리 학부의 정해진 교수팀이 참여하여 발견한 연구성과의 중앙일보 보도 자료입니다. ===========================================================해양수산부가 국내에서 해양 와편모류 신종 2종을 새롭게 발견하고,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붙여 국제 학계에 보고했다고 8일 밝혔다. 와편모류는 해양 단세포 생물이다. 2개의 편모를 가지고 헤엄을 칠 때 소용돌이(와류·渦流)가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이 생물은 사람의 100배에 달하는 유전자 정보와 다양한 유용·기능성 물질을 가지고 있다. 해양바이오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김종성 교수] 기고문, 해양생태계 복원기술의 의미와 발전2019-01-04 l 조회수 5362018년 24호 KIMST [해양과학기술] 해양생태계 복원기술의 의미와 발전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손병주 교수] EBS 초대석 출연 - 지구의 생존, 1도를 지켜라2018-10-12 l 조회수 497우리 학부의 손병주 교수님께서 EBS 초대석에 출연하시어 "지구의 생존, 1도를 지켜라" 주제로 방송하신 내용입니다. [지구온난화와 이상기온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전 세계. 기상이변 현상, 집중 호우, 폭염등 이상기후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구 온도 1도 상승은 상상보다 훨씬 큰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과연 이러한 현상을 막고 지킬 수 있을 것인가? ] 링크 : http://www.ebs.co.kr/tv/show?prodId=7745&lectId=10962096[김종성 교수] 바다를 연구하다, 우리 미래를 지키다2018-10-02 l 조회수 4152018년 가을호 한국환경공단 [자연가까이 사람가까이] 바다를 연구하다, 우리 미래를 지키다 해양 생태, 사회 이슈와 만나다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우리 미래를 살려야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김종성 교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해양 패러다임의 전환, 키워드는 바로 블루카본!2018-10-01 l 조회수 4462018년 가을호 해양환경공단 소식지 [해(海)맑은이야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해양 패러다임의 전환, 키워드는 바로 블루카본! '국내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 기술 개발' 사업 관련 초청세미나 및 공정보고회의 개최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황점식 교수] 지구환경과학부 부학부장 임명2018-09-27 l 조회수 586우리 학부의 황점식 교수님께서 아래와 같이 지구환경과학부 부학부장으로 임명되셨습니다. 앞으로 많은 수고 부탁드립니다. * 이름 : 황점식 (부교수)* 기간 : 2018. 10. 01. ~ 2020. 09. 30. (2년간) 더불어 그동안 지구환경과학부의 발전을 위하여 수고해주신 최경식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김종성 교수]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2018-09-15 l 조회수 4972018. 09. 15. 어린이과학동아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 갯벌은 열대우림보다 훌륭한 탄소저장도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