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부소개
    • 학부장 인사말
    • 학부소개
    • 연혁
    • 교직원
    • 오시는 길
  • 교수/연구
    • 교수진
      • 교수
      • 명예 및 퇴직교수
      • 연구진
    • 교육·연구분야
      • 대전공분야
      • 연구부
    • 연구장비
    • 주요논문
  • 입학/학사
    • 대학
      • 입학
      • 교과과정
      • 졸업요건(교양)
      • 졸업요건(전공)
    • 대학원
      • 입학
      • 교과과정
      • 졸업요건
    • 장학
    • 졸업생 진로
      • 졸업 후 진로
      • 동문 인터뷰
  • 학부정보실
    • 뉴스
      • 공지사항
      • 학부 새소식
      • SEES 뉴스레터
    • 세미나/이벤트
    • 지환부 영상
    • 자료실
    • 미세먼지&기상정보
  • 인트라넷
    • 규정/지침
    • 시설예약
      • 예약신청
      • 예약현황
    • 장비예약
      • 예약신청
      • 예약현황
    • 로그인
    • 개인정보처리방침
EN

학부 새소식

  1. Home
  2. 학부정보실
  3. 뉴스
  4. 학부 새소식
  • 학부정보실
    • 학부소개
    • 교수/연구
    • 입학/학사
    • 학부정보실
    • 인트라넷
  • 뉴스
    • 뉴스
    • 세미나/이벤트
    • 지환부 영상
    • 자료실
    • 미세먼지&기상정보
  • 학부 새소식
    • 공지사항
    • 학부 새소식
    • SEES 뉴스레터
  • [박용안 명예교수] 유엔 대륙붕한계위원으로 당선
    2017-06-16 l 조회수 557
    우리학부의 해양학 명예교수님이신 박용안 교수님께서 유엔 대륙붕한계위원 5선에 성공하셨습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아래는 관련 기사내용입니다.        박용안 서울대 명예교수가 14일(뉴욕 현지 시간) 뉴욕에서 열린 제27차 유엔 해양법협약 당사국회의 기간 중 열린 대륙붕한계위원회(CLCS) 선거에서 위원에 당선되었다. 박용안 명예교수는 이번 회의에 참석한 유엔 해양법당사국 164개국 가운데 155개국의 지지표를 얻어 1997년,2002년,2007년,2012년에 이어 5선에 성공하였다. 2022년까지 5년간 위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총 21명으로 구성된 ...
  • [손병주 교수] 김동호의 직격 인터뷰 : 왜 한국은 중국발 미세먼지에 굉장히 순진하게 대처하는가?
    2017-06-16 l 조회수 658
    다음은 우리학부의 손병주 교수님께서 중앙일보와의 인터뷰를 기사화한 내용입니다.    ==========================================================    손병주 국제대기복사학회 회장의 경고  [출처: 중앙일보] [김동호의 직격 인터뷰] 왜 한국은 중국발 미세먼지에 굉장히 순진하게 대처하는가     http://news.joins.com/article/21671524       올봄 한반도 상공을 뒤덮은 미세먼지의 트라우마는 지금도 생생하다. 미세먼지가 하늘을 가리면서 푸른 하늘은 사라지고 도시는 물론 전국 산과 들이 모두 잿빛...
  • [김광열 교수]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17-06-07 l 조회수 519
    우리학부의 김광열 교수님께서 출간하신 "Cyclostationary EOF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s" 가 201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대한민국학술원에서는 기초학문분야의 우수학술도서를 선정하여 대학 등에 보급함으로써 기초학문 분야의 연구 및 저술 활동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김광열 교수님의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781269    
  • [이성근 교수] 거대지진 때 암석 '녹는온도' 새롭게 밝혀
    2017-06-01 l 조회수 2540
    우리학부의 이성근 교수팀 등 공동 연구팀이 거대 지진 때 발생하는 열로 암석이 녹는 온도를 새롭게 밝혀내었습니다.     해당 연구는 이성근 교수팀과 경상대 한래희 교수, 안동대 정기영 교수,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의 히로세 박사와 공동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단층면의 마찰에 의한 가열로 암석이 녹게 되며 이를 '마찰용융'이라고 하는데 통상 마찰용융은 규모가 7~8 이상인 거대지진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지진의 열로 녹는 광물은 상대적으로 녹는점이 낮은 광물들이라고 가정하는 '비평형용융'으로 마찰용융 과정을 ...
  • [이상묵 교수] 홍조근정훈장 수여 소식
    2017-06-01 l 조회수 1063
    우리학부의 이상묵 교수님께서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제30회 정보문화의 달 기념식' 에서 홍조근정훈장을 받으셨습니다. 기념식은 6월 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습니다. 이상묵 교수님께서는 정보문화 기반을 넓히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보통신진흥 부문의 최고 훈장인 홍조근정훈장을 받으셨습니다. 특히, ICT를 활용한 장애인 정보화 교육을 높이 평가받으셨습니다. 훈장 수훈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nb...
  •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에 지구환경과학부 윤승태, 이창근, 조형미 수상
    2017-05-08 l 조회수 611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가 주관한 해양과학분야 최대 학술 행사인 '2017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가 지난 4월 19일부터 20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렸습니다. 이 대회에서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박사과정 윤승태, 이창근, 조형미가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해양과학부문)을 수상하였습니다.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은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학술발전과 신진 연구자를 육성·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총 69편의 후보 논문 중 해양과학 및 해양기술 2개 부문으로 나눠 해양수산부 장관상(서울대 3편, 한국해양대 1편, KAIST 1편, 충남대 1편)과 한국...
  • [출판소식] 지구인도 모르는 지구
    2017-05-04 l 조회수 638
    우리학부의 여러 교수님들이 강사와 저자로 참여한 '지구인도 모르는 지구'가 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재단법인 카오스기획] 김경렬, 김백민, 김웅서, 박록진, 심상헌, 윤상호, 이강근, 이상묵, 이융남, 최덕근, 홍태경 지음 지구는 우리의 시작점이다! 우리가 몸담고 있는 지구에 대한 친근하지만 낯설고, 흥미롭지만 단호한 보고서! 대중의 눈높이에서 46억 년의 지구 역사를 추적하고 지구의 미래를 걱정하다 매일 아침 미세먼지를 걱정하며 마스크를 챙기고, 때 이른 더위와 혹독한 추위가 기승을 부릴 때마다 우리는 지구 환경이 달라지고 있고, 이러한 변화가 인류에게 ...
  • [이경하 박사] BK플러스 우수연구인력 선정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17-04-24 l 조회수 604
     생태바이오에너지 융합연구실 이경하 박사가 ( 2017년 2월 졸업, 지도교수:정해진) 제 3회 BK21플러스사업 우수인력으로 선정되어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 상은 BK21플러스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인력 중 탁월한 연구성과를 거둔 인재들을 발굴 격려하기 위하여 제정한 상입니다. 교육부가 BK21플러스사업에 참여하는 총 545개 사업단으로부터 추천받은 (각 사업단 1명이내) 대학원생과 신진연구인력들 중 표창심사위원회가 대상자들을 평가하고 인터넷 공개검증 등을 거쳐 최종 30명을 선정하였습니다. 이경하 박사는 수상식에서 수상자 대표...
  • [김종성 교수]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독도’의 해양무척추동물 연구 집대성
    2017-04-13 l 조회수 902
    Marine Pollution Bulletin 저널에 발표한 “Biodiversity hotspot for marine invertebrates around the Dokdo, East Sea, Korea: Ecological checklist revisited” 논문이 여러 언론사를 통해서 기사화되었습니다 [관련기사] [연합뉴스] 독도 해양무척추동물 578종 확인…”다양성 세계적 수준” (2017/04/13 12:00) [중앙일보] 바퀴벌레 닮은 바다생물의 주소는,”한국 동해의 독도&rdqu...
  • [정해진 교수] 광어 기생충 제거하는 해양 단세포 생물 발견
    2017-04-11 l 조회수 530
    우리학부의 정해진 교수님께서 광어 기생충을 제거하는 해양 단세포 생물을 발견하셔서 제품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는 기사입니다. 아래는 "국민일보"의 2017년 4월 10일 기사 내용입니다.               양식 넙치(광어) 폐사의 주요 원인인 기생충을 제거하는 해양 단세포 생물이 발견됐다. 양식 어가의 피해를 줄이고 수산물 안전성도 향상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정해진(사진) 서울대 교수가 이끄는 서울대·군산대 연구팀이 광어 기생충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해양 ‘와편모류’를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해수부가 지난해부터 진행한...
  • 이전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다음
  • ← 이전
  • 44/64
  • 다음 →
로그인 ENGLISH
  • 학부소개
    • 학부장 인사말
    • 학부소개
    • 연혁
    • 교직원
    • 오시는 길
  • 교수/연구
    • 교수진
      • 교수
      • 명예 및 퇴직교수
      • 연구진
    • 교육·연구분야
      • 대전공분야
      • 연구부
    • 연구장비
    • 주요논문
  • 입학/학사
    • 대학
      • 입학
      • 교과과정
      • 졸업요건(교양)
      • 졸업요건(전공)
    • 대학원
      • 입학
      • 교과과정
      • 졸업요건
    • 장학
    • 졸업생 진로
      • 졸업 후 진로
      • 동문 인터뷰
  • 학부정보실
    • 뉴스
      • 공지사항
      • 학부 새소식
      • SEES 뉴스레터
    • 세미나/이벤트
    • 지환부 영상
    • 자료실
    • 미세먼지&기상정보
  • 인트라넷
    • 규정/지침
    • 시설예약
      • 예약신청
      • 예약현황
    • 장비예약
      • 예약신청
      • 예약현황
    • 로그인
    • 개인정보처리방침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S ©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NU.All Rights Reserved.

대학원 매뉴얼 및 정보자료

1. 지구환경과학부 대학원 매뉴얼
2. 해외석학 평가 요약 및 내용 2-1. 표 
2-2. 그림
3. 교수-학생 대토론회 상세 내용
4. 대학원 교과목 중 신규 수요와 사회적 수요 및
    반영 가능 교과목 List
5. 연구부 구성 및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