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희 교수]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에서 수여하는 "서정희상 수상"2017-11-02 l 조회수 660우리학부의 김영희 교수님께서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에서 수여하는 서정희상 수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7 추계자원연합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시상이 있사오니 꼭 참석하시어 교수님의 수상을 축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정기총회 : 2017.11.01. 13:20~14:00[김광열 교수] 2017학년도 2학기 "서울대학교 교육상" 수상2017-10-27 l 조회수 437서울대학교에서는 우수한 교육성과를 보이신 교수님들을 대상으로 매학기 약 10여명의 교수님들께 교육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2017학년도 2학기에는 우리학부의 김광열 교수님이 수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 선정을 축하드립니다. [시상식 안내]- 일시 : 2017. 11. 13.(월) 15:00- 장소 : 교수학습개발센터(61동) 320호 [교육상 수상기념 특별강연] Teaching : Art of Communications- 일시 : 2017. 11. 28.(화) 16:00- 장소 : 25-1동 국제회의실 교육상의 의미를 살려 많은 학생들의 참...[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갯벌, 염생식물, 잘피 등 탄소흡수원, 국제 인증의 첫 포문 열다...‘2017 블루카본 국제 심포지엄'개최2017-10-26 l 조회수 3972017. 10. 26. 해양환경공단 공식블로그 올해 블루카본 연구의 '원년'이라 할 만큼 많은 연구 이뤄져 서울대 권봉오 박사, 연안습지 퇴적물 내 탄소 반영구적 저장이 우리나라 블루카본의 핵심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김종성 교수] [경향신문 인터뷰] "독도의 날" 맞아 만난, 해양생태학자 김종성 교수2017-10-25 l 조회수 904아래 내용은 우리 학부의 김종성 교수님께서 "독도의 날"을 맞아 경향신문과 인터뷰한 내용의 기사입니다. "학자이기에, 독도를 위해 펜으로 싸우는 것" “학자이기 때문에 ‘독도 분쟁’에 투사처럼 나설 순 없지만, 펜으로도 싸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김종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43)는 해양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독도를 세계에 알린 학자다. 그는 ‘독도가 해양생물 다양성 측면에서 세계적 수준’임을 증명하는 논문을 세계적 권위지인 ‘해양오염학회지’에 최근 게재했다. 김 교수가 연구책...[김광열 교수] 신임 지구환경과학부 학부장 선출2017-10-25 l 조회수 454우리 학부의 김광열 교수님께서 2017년 10월 24일부로 지구환경과학부 신임 학부장으로 임명되셨습니다. 임기는 2년입니다. 아래는 신임학부장님의 인사말씀입니다. 지환부 가족분들께 안녕하세요. 저는 어제(24일) 발령을 받고 오늘부터 신임 학부장으로 일하게 되어서 여러분들께 인사를 드립니다. 부족한 저에게 이런 중책을 맡겨주셔서 부담도 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학부를 위해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큰 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부장으로서 새 일을 시작하면서 마음을 굳건히 해봅니다. 지난 번 임시 교수회의에서도 말씀을 드렸지만 제가...[정해진 교수] "해양 와편모류"로 오메가3 영양제 개발한다.2017-10-24 l 조회수 559아래 내용은 우리학부의 정해진 교수님께서 해양 단세포 생물인 '와편모류'로 식물성 오메가3 영양제를 개발하신 내용의 기사입니다.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해양 단세포 생물인 '와편모류'로 식물성 오메가3 영양제를 개발하는 길이 열렸다. 2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서울대 정해진 교수가 이끄는 서울대·군산대 연구팀은 지난 2010년 우리나라 시화호에서 발견한 신종 와편모류인 '파라짐노디니움 시화엔스'(Paragymnodinium shiwhaense)를 특정 먹이로 배양하면 오메가3 지방산 함유량이 늘어나는 사실을 확인했다. 와편모류...<지구인도 모르는 지구> 2017 올해의 우수과학도서 선정2017-10-23 l 조회수 979한국과학창의재단은 우리학부의 이강근, 이상묵, 이융남, 최덕근, 박록진, 김경렬 교수님 등이 저자로 참여하신 <지구인도 모르는 지구, 2016> 도서를 2017 우수과학도서로 선정하였습니다. 선정을 축하드립니다. 『지구인도 모르는 지구』는 지구과학, 지질학, 환경학, 공룡학, 해양학 등 지구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지구에 대해 살펴보고 지구가 당면한 문제 문제를 함께 고민한다. 지구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부터 지구 내부의 비밀, 한반...[김광열 교수] "Energy Balance Climate Models" 책 출간2017-10-20 l 조회수 515우리학부의 김광열 교수님께서 2017년 10월에 "Energy Balance Climate Models" 책을 출간하셨습니다. 축하드리며 아래의 내용은 출간된 도서를 소개한 내용입니다. 저자 : Gerald R. North and Kwang-Yul Kim 2017년 10월 출간 ISBN : 978-3-527-41132-0, 392 pages Written by renow...[김덕진 교수]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승진임용2017-09-12 l 조회수 520우리학부의 김덕진교수님(인공위성지구물리연구실)께서 2017년 9월 1일자로 교수로 승진임용 되셨습니다. 김덕진교수님의 승진임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이융남 교수] 한중일 제자가 스승에게 바치는 공룡2017-08-14 l 조회수 647아래 내용은 우리 학부의 이융남 교수님과 관련된 기사 내용입니다. 공룡에게 있어 이름은 특별하다. 이미 멸종돼 지구상에서 사라진 공룡을 기억하게 하고, 죽은 생명에 숨을 불어넣기 때문이다. 이에 작명을 할 때는 생김새나 몸의 형태, 서식지 등 특정 공룡을 떠올리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특징들이 담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인류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공룡들이 화석더미 속에서 발견돼 잃어버린 생명을 되찾고 있다. 신종 공룡을 처음으로 세상에 알린 고생물학자에게는 이름을 지을 수 있는 특권이 부여된다. 그만큼 값지다. 그런데 최근 한·중·일을 대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