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창회 교수] 허창회 교수팀, AI 딥러닝 기법 결합 미세먼지 예보 모델 개발2021-04-26 l 조회수 15302021. 04. 05. 세계일보 지구환경과학부 허창회 교수팀 - 돌발상황 대응 못하는 AI 예보관... 인간과 '상호보완' 필요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 합니다[이상묵 교수] 기고문, 장애인들에게 또 하나의 어려움: 교육으로부터의 소외2021-04-26 l 조회수 7142021. 3. 서울대학교 제16기 평의원회 소식지 8호 이상묵 교수, 장애인들에게 또 하나의 어려움: 교육으로부터의 소외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 합니다[손석우 교수] 기고문, 북중국·몽골 기온 3~4도 오르자… 4년간 사라졌던 ‘3월 황사’ 돌아왔다2021-04-26 l 조회수 8442021. 04. 14. 조선일보 손석우 교수, 북중국 ·몽골 기온 3~4도 오르자... 4년간 사라졌던 '3월 황사' 돌아왔다 '불청객' 황사 11년 만에 전국 습격 몽골 쪽 고온 ·건조해 강한 저기압·바람에 황사 발생 확률 높아져 '기상 1호' 흙먼지 변화 알아채 경보 발령, 해상·항공관측 확대를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 합니다박문재 박사,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조교수 임용2021-04-26 l 조회수 882지체구조물리학연구실의 박문재 박사(2017년 2월 졸업, 지도교수: 정해명)가 2021년 3월 1일자로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교수 임용을 축하드립니다.최덕근 명예교수, 제7회 유미과학문화상 수상2021-04-06 l 조회수 702우리 학부의 최덕근 명예교수님께서 지난 5일 제7회 유미과학문화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최덕근 명예교수님께서는 고생대 삼엽충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판구조론 관점에서 한반도 형성사를 집대성하고, 국내외 학술지 논문 117편과 일반 학생·대중을 위한 교양서적을 통해 자연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으셨습니다. 유미과학문화상은 유미과학문화재단에서 매년 과학문화 창달에 공로가 있는 단체나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상패와 부상 3천만원이 수여됩니다. &n...[김종성, 정해진 교수] 해양·수산 이끌 '해양싱크탱크' 정책릴레이 참석2021-03-11 l 조회수 6542021. 03. 11. 현대해양 해양·수산 이끌 ‘해양싱크탱크’ 닻 올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지난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영상으로 해양싱크탱크(Think Tank) 정책릴레이 개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에서는 정해진 교수, 김종성 교수 참여 [관련기사] [어업in수산] 문성혁 해수부 장관 해양싱크탱크 정책릴레이 [이데일리] 문성혁 장관, 해양싱크탱크와 정책간담회…”소통·협력 지속 [뉴스1] 해양수산부 싱크탱크 정책릴레이, 인사말 하는 문성혁 해수부 장관 [...[김상우, 안진호, 황점식 교수] 정교수 승진임용2021-03-02 l 조회수 768우리학부의 김상우교수님(기후환경실험실), 안진호교수님(빙하/고기후연구실), 황점식교수님(화학해양학)께서 2021년 3월 1일자로 정교수로 승진임용 및 종신교수 자격을 얻으셨습니다. 김상우, 안진호, 황점식교수님의 승진임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정해진 교수] 서울대 교수 이름 딴 해양와편모류 '심이엘라'2021-02-17 l 조회수 2760우리학부 정해진 교수님 연구팀에서 해양와편모류의 신종을 최초로 발견해 심재형 명예교수님의 성을 따서 명명한 후 국제저명학술지인 미국조류학회지(Journal of Phycology) 2021년 2월호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정해진 교수님 연구팀은 2019년 4월에 우리나라 진해만에서 해양와편모류를 채집하고 배양한 후 형태적 분석과 유전학적 분석을 통하여 이 종이 신속(new genus), 신종(new species)임을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종명을 심이엘라 그라실란타(Shimiella gracilenta)로 명명하였습니...[남성현 교수] The-K 명사 인터뷰2021-02-08 l 조회수 854첨부의 파일은 우리 학부 남성현 교수님이 교직원공제회에서 발간하는 The-K매거진과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바닷속 데이터로 지구를 지켜라!" 주제로 해양과학에 관한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출처(크롬 사용) : http://www.thekmagazine.co.kr/pdf/viewer.php?file=theK_2102_m.pdf[조양기 교수] 기후변화의 ‘경고’… 2100년 한반도 해수면, 최대 73㎝ 높아진다2021-01-26 l 조회수 1175아래 내용은 우리 학부의 조양기 교수팀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공동연구한 결과에 관한 기사의 내용입니다. =================================================‘10㎝ 상승’ 지난 30년 대비 2배 빨라져온실가스 감축 강화·연안 정비 등 필요 2100년 한반도 해수면이 최악의 경우 73㎝ 상승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해수면 상승 속도도 두 배 이상 빨라질 수 있어 온실가스 배출 줄이기 정책을 다시 세워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과 서울대 조양기 교수 연구팀은 고해상도 지역 해양기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