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성 교수]기고문, 바다와 함께 살기 : 공생의 지혜2025-02-24 l 조회수 602025. 2. 2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바다와 함께 살기 : 공생의 지혜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남성현 교수] 도서『바다 위의 과학자』발간2025-02-20 l 조회수 342우리 학부의 남성현 교수님께서 도서 『바다 위의 과학자』 를 발간하셨습니다. 발간을 축하드리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책소개> “인류는 아직 바닷물 한 방울만큼도 바다를 완벽히 알지 못한다.” 75회 승선 조사 경험을 가진 해양과학자가 알려주는 바다의 진짜 모습! 보이저 1호가 카메라를 180도 돌려 찍은 지구의 사진을 보고 칼 세이건은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이라고 표현했다. 우리가 지구를 ‘푸른’ 행성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는 푸른 바다가 지구 표면의 70퍼센트...[백종진 교수] 2024년 한국기상학회 운재학술상 수상2025-02-19 l 조회수 77우리 학부 백종진 교수님께서 2024년 한국기상학회 운재학술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이 상은 대기과학 분야 연구, 교육, 국제교류, 산학연협력 등에서 학술적 공헌이 큰 회원에게 수여하는 기상학회 대표 학술상입니다. 백종진 교수님의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김규범 교수] 2024 한국해양학회 공로상 수상2025-02-19 l 조회수 74우리학부 김규범 교수님께서 지난 11월에 열린 2024 추계한국해양학회에서 공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 상은 우리나라 해양과학 발전 및 학회에 현저한 기여가 있는 자의 공로를 기리기 위한 상입니다. 김규범 교수님의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김종성 교수] 인터뷰, "블루카본, 탄소중립의 새로운 해법으로 떠오르다"2025-02-17 l 조회수 882025. 02. 17. 이미디어 [인터뷰]김종성 교수_블루카본, 탄소중립의 새로운 해법으로 떠오르다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이강근 교수] 원자력안전위원회 비상임위원 위촉2025-02-17 l 조회수 702025. 2. 14. 연합뉴스 원안위 비상임위원에 이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국종성 교수] 국종성 교수 연구팀, 영구동토층 탄소 배출 지속 관련 논문 발표2025-02-14 l 조회수 822025. 2. 13. 조선비즈 탄소 중립 달성해도 영구동토층 회복 불가능…24세기에도 탄소 뿜어낸다 기사보기 2025. 2. 13. 문화일보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김종성 교수]기고문, 해양생태계 복원 뉴패러다임 K-리빙-쇼어라인2025-01-15 l 조회수 2792025. 1. 1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태계 복원 뉴패러다임 K-리빙-쇼어라인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최덕근 명예 교수님 신간 도서 발간-『산과의 대화 – 어느 지질학자의 연구노트』2025-01-15 l 조회수 94지구환경과학부를 정년 퇴임하신 최덕근 교수님께서 『산과의 대화 – 어느 지질학자의 연구노트』를 발간하셨습니다. 발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12. 30. 231쪽 ISBN: 978-89-521-3671-8-03450 서울대학교 재임 중에 암석과 화석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경험담을 담았다. 그래서 책의 제목을 ‘산과의 대화’로 정하고, ‘어느 지질학자의 연구노트’라는 부제를 붙였다. 책은 두 부분으로 나뉘며, 제1부에서는 고생대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었고, 제2부에서는 신원생대를 ...[김종성 교수] 기고문,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방안2024-12-13 l 조회수 1472024. 11. 1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