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융남 교수] 이융남 교수팀, 반수생 육식 두발 공룡 첫 발견2022-12-07 l 조회수 2781우리학부 이융남교수 연구실에서 몽골에서 조류가 아니면서도 현대의 다이빙 새처럼 몸이 물속 사냥에 적합하게 유선형으로 진화한 7천만 년 전 육식성 두발 공룡의 화석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Communications Biology에 낸 논문이 아래와 같이 세계 언론에 소개되었습니다. [한겨레] 잠수 사냥 ‘유선형’ 육식공룡 첫 발견…오리만 한데 이는 100개 [연합뉴스] 몽골서 '다이빙 새' 닮은 반수생 육식 두발 공룡 첫 발견 [National Geographic] Could dinosaurs swim?...[남성현 교수] tvN [벌거벗은 세계사] 출연2022-11-30 l 조회수 1237우리 학부 남성현 교수님께서 지난 11월 29일(화) 오후 8시 40분에 tvN에서 방영된 [벌거벗은 세계사]에 출연하셔서 <위기의 지구, 인류 멸망의 시그널>을 주제로 기후 위기를 넘어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후 재앙을 통해 인류의 생존이 달린 기후 위기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관련 기사와 클립영상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 11. 30. 파이넨셜뉴스 "이러다 20년 안에 다 죽는다" ...벼랑까지 온 지구의 기후 재앙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 --------------...[김종성 교수] 블루카본사업단, 세계기후총회서 ‘갯벌 블루카본’ 국제인증 위해 맹활약2022-11-28 l 조회수 4542022.11.26. 현대해양 블루카본사업단, 세계기후총회서 ‘갯벌 블루카본’ 국제인증 위해 맹활약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손석우 교수] 기고문, 한파주의보2022-11-28 l 조회수 3782022. 11. 27. 한겨레 [손석우의 바람] 한파주의보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김종성 교수] 해수부, COP27 참석해 녹색해운·블루카본 분야 탄소중립 국제사회 논의 선도2022-11-25 l 조회수 3952022.11.22. 뉴스1 해수부, COP27 참석해 녹색해운·블루카본 분야 탄소중립 국제사회 논의 선도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김종성 교수] 기고문, 해양쓰레기와 ‘천사도’에서의 뜻깊었던 하루2022-11-23 l 조회수 5822022.11.14. 현대해양 [김종성의 우리 바다 우리 생물] 해양쓰레기와 ‘천사도’에서의 뜻깊었던 하루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김영희 교수] 이학 분야 선도연구센터(SRC) 선정(지구심부-지표 상호작용 연구센터)2022-11-21 l 조회수 3223우리 학부 김영희 교수님께서 이강근, 이상묵, 정해명, 허영숙, 박정우, 우주선, 이현우 교수님, 부경대 김영재 교수님과 함께 이학 분야의 새로운 선도연구센터(SRC)에 선정되셨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선도연구센터는 기초연구지원사업 중 우수 연구집단 육성을 위한 집단연구지원사업입니다. 김영희 교수님께서 단장으로 계신 지구심부-지표 상호작용 연구센터는 연구지역 지질작용의 체계적 이해를 위한 자료 확보, 관측·실험·모델링에 기반한 지구 심부 프로세스로 인한 지표 프로세스 규명, 지표 프로세스가 지구 심부에 미치는 영향의 새로운 연구가...[남성현 교수] 제주미래비전 도민공감프로젝트 2022 석학강좌 강연2022-11-21 l 조회수 475우리 학부 남성현 교수님께서 '전 지구적 기후 위기와 해양환경'을 주제로 제주미래비전 도민공감프로젝트 2022 석학강좌에서 강연을 진행하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11.19. 뉴시스 기사보기 "기후위기 범인은 인간…바다 이해해야 지구 공존 가능"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남성현 교수]『남극에 '운명의 날 빙하'가 있다고?』출간 (질문하는 과학)2022-11-21 l 조회수 815우리 학부의 남성현 교수님께서 2022년 11월 21일 "남극에 ‘운명의 날 빙하’가 있다고?(질문하는 과학)" 도서를 출판하셨습니다. 출간을 축하드리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남극에 ‘운명의 날 빙하’가 있다고? - YES24 ======================================================== 책소개 기후 위기, 지구 환경 오염, 에너지 고갈에서 지구를 구하려면? 결국 희망은 ‘바다’에 있다! 극심한 한파도 결국 바다 때문이라고? 해양이 기후 조절자로 불리...[김종성 교수] '쉬운 블루카본' 인식 확산 포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서 열려2022-11-16 l 조회수 4382022.11.7. 비즈니스포스트 '쉬운 블루카본' 인식 확산 포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서 열려 기사보기 ** 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기사를 링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