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대기과학세미나 (2023.09.26) - 이명인 교수(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일시 : 2023-09-26(화) 16:00 ~ 17:00
연사 : 이명인 교수(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소속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문의 : 02-880-6723
장소 : 501동 504호 세미나실
Title: 지구 온난화와 한반도 폭염
Abstract: 기후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가장 확실하게 예견되는 “기후재난”의 대표적인 예시가 폭염이다. 전지구적인 기온상승과 함꼐 우리나라의 폭염과 열대야 발생은 과거의 전형적인 지역적, 산발적인 특징에서 벗어나 점차 광역화 장기화 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폭염은 온열질환자와 사망자 급증을 넘어 사회경제 전반적인 영역에서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어서 사전적 대비를 위한 예측기술 확보는 매우 중요한 반면, 단기 예측의 범위를 넘어서는 중기 및 장기 예측기술은 아직까지 실용적 수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지구 대기모델을 기반으로 한 앙상블 예측을 통해 한반도 폭염의 목표 시점 2주 전까지의 중기 예측성능을 검증한 사례를 소개하겠다. 아울러, 폭염에 대한 장기 예측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인자로서 기후예측모델에서의 지면-대기 상호작용과 토양수분 초기화의 중요성과 그 가능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기후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가장 확실하게 예견되는 “기후재난”의 대표적인 예시가 폭염이다. 전지구적인 기온상승과 함꼐 우리나라의 폭염과 열대야 발생은 과거의 전형적인 지역적, 산발적인 특징에서 벗어나 점차 광역화 장기화 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폭염은 온열질환자와 사망자 급증을 넘어 사회경제 전반적인 영역에서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어서 사전적 대비를 위한 예측기술 확보는 매우 중요한 반면, 단기 예측의 범위를 넘어서는 중기 및 장기 예측기술은 아직까지 실용적 수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지구 대기모델을 기반으로 한 앙상블 예측을 통해 한반도 폭염의 목표 시점 2주 전까지의 중기 예측성능을 검증한 사례를 소개하겠다. 아울러, 폭염에 대한 장기 예측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인자로서 기후예측모델에서의 지면-대기 상호작용과 토양수분 초기화의 중요성과 그 가능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첨부파일 (1개)
- Abstract.docx (20 KB, download: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