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천세미나]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지구 건강의 중심
일시 : 2022-11-16(수) 12:00 ~ 13:00
연사 : 황청연 교수
소속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문의 : 02-880-6713
장소 : 500동 1층 목암홀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지구 건강의 중심
요즘 우리는 식음료, 화장품, 의약품 분야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이라는 용어를 빈번하게 접한다. 사람의 건강이 인체 미생물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는 여러 증거들이 발견되면서 마이크로바이옴은 차세대 바이오산업의 핵심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정 환경에 서식하는 특징적인 미생물 조성과 이들의 활동을 뜻하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시작되기 20여년 전부터 환경미생물 생태 분야에서 사용되던 용어이다. 이는 특정 생태계의 특성이 서식 미생물의 다양성과 기능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는 개념을 포함한다. 해양에서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작은 생물이 전체 생물량의 2/3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양염 순환이나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등 해양의 생태적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해양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세미나에서는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중요성, 발전 과정과 주요 결과, UN 지속가능발전목표(14.해양생태계 보존)를 달성하기 위한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요즘 우리는 식음료, 화장품, 의약품 분야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이라는 용어를 빈번하게 접한다. 사람의 건강이 인체 미생물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는 여러 증거들이 발견되면서 마이크로바이옴은 차세대 바이오산업의 핵심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정 환경에 서식하는 특징적인 미생물 조성과 이들의 활동을 뜻하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시작되기 20여년 전부터 환경미생물 생태 분야에서 사용되던 용어이다. 이는 특정 생태계의 특성이 서식 미생물의 다양성과 기능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는 개념을 포함한다. 해양에서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작은 생물이 전체 생물량의 2/3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양염 순환이나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등 해양의 생태적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해양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세미나에서는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중요성, 발전 과정과 주요 결과, UN 지속가능발전목표(14.해양생태계 보존)를 달성하기 위한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