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무Lee, Sang-Moo
조교수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위성기상학 전공
위성기상실험실
대전공분야
# 대기과학연구내용
위성기상실험실에서는 위성 관측이나 지상 및 항공기 관측을 이용하여 대기 및 지표면을 관측하는 원격탐사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원격탐사란 대상과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대상의 특성을 산출하는 학문 분야이다. 기상학에서의 원격탐사의 대표적 역할은 기상 변수(예: 온도, 습도, 구름양, 강수량)를 산출이다. 원격탐사를 통해 산출된 기상 변수는 대기 상태의 모니터링, 수치예보 및 기후모델의 검증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뿐 아니라 위성에서 관측한 밝기온도는 수치예보모델에 동화됨으로써, 수치예보모델의 질적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는 극궤도 및 정지궤도위성체에 기상 센서(가시광, 적외선, 마이크로파)를 통해 전 지구 규모의 기상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시공간적으로 균질한 기상 및 지구환경변수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위성을 이용한 기상관측의 활용과 개발에 대한 관심도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기상예측 및 기후예측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학력
- Ph.D., Satellite Meteo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18
- B.Sc., Satellite Meteo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11
주요 경력
-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22-present
-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Electrical Computer Energy Engineering,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USA, 2019-2022
- Visiting Scientist,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USA, 2019-2022
- BK21+ Research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9
- Senior Research Scientist,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8-2019
주요 논문
- Lee, S.-M., and A. J. Gasiewski, 2022: A physically-based two-scale ocean surface emissivity model tuned to WindSat and SSM/I polarimetric brightness temperatur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60, 4205523, doi:10.1109/TGRS.2021.3133852.
- Lee, S.-M., H. Shi, B.-J. Sohn, A. J. Gasiewski, W. Meier, and G. Dybkjær, 2021: Winter snow depth on Arctic sea ice from satellite radiometer measurements (2003-2020): Regional patterns and trend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8, e2121GL094541, doi:10.1029/2021GL094541.
- Lee, S.-M., and B.-J. Sohn, 2015: Retrieving the refractive index, emissivity, and surface temperature of polar sea ice from 6.9 GHz microwave measurements: a theoretical develop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20, 2293-2305, doi:10.1002/2014JD022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