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천세미나] SEES COLLOQUIUM(2025.4.16.)-김정은 교수(서울대 과학학과)
일시 : 2025-04-16(수) 12:00 ~ 13:00
연사 : 김정은 교수
소속 :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문의 : 02-880-6713
장소 : 25-1동 국제회의실
기후변화협약과 과학지식
본 강연은 과학분야의 연구 결과가 기후변화정책에 반영되는 과정을 기후변화협약의 구조 및 구조를 이루는 기관들의 기능을 통해서 설명한다. 특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 (IPCC)의 보고서 편집과정을 통해 과학자들이 수행한 연구결과들이 어떻게 정책에 반영되는지를 설명한다. IPCC는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88년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UN 산하기관으로, 직접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지 않고 과학적 증거를 수집하고 검증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공유하는 기능을 한다. IPCC의 검증을 거친 과학적 지식은 기후변화협약(UNFCCC) 정책형성과정의 근거가 된다. 이러한 순서에 따라 본 강연의 전반부에서는 국제기후변화협약의 구조를 살펴보고, 후반부에서는 IPCC의 보고서 편집과정과 UNFCCC의 정책형성 및 실행의 구조를 살펴본다.
본 강연은 과학분야의 연구 결과가 기후변화정책에 반영되는 과정을 기후변화협약의 구조 및 구조를 이루는 기관들의 기능을 통해서 설명한다. 특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 (IPCC)의 보고서 편집과정을 통해 과학자들이 수행한 연구결과들이 어떻게 정책에 반영되는지를 설명한다. IPCC는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88년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UN 산하기관으로, 직접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지 않고 과학적 증거를 수집하고 검증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공유하는 기능을 한다. IPCC의 검증을 거친 과학적 지식은 기후변화협약(UNFCCC) 정책형성과정의 근거가 된다. 이러한 순서에 따라 본 강연의 전반부에서는 국제기후변화협약의 구조를 살펴보고, 후반부에서는 IPCC의 보고서 편집과정과 UNFCCC의 정책형성 및 실행의 구조를 살펴본다.